WAS가 클라이언트(브라우저)로 부터 서블릿 요청을 받게되면 일어나는 순서
1. HttpServletRequest 객체를 생성( 요청받은 데이터가 저장된 객체 )
2. 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생성( 빈 객체 )
생성된 HttpServletRequest , 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서블릿으로 전달하게 된다.
HttpServletRequest
위에서 설명한것과 같이 클라이언트가 전달한 데이터를 담고있는 객체이다.
단일 데이터를 꺼낼때는 아래와 같이 사용
http://localhost:8080/request?id=gold
HttpServletRequest request
String id = request.getParameter("id");
getParameter의 반환타입은 String이다.
post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을 받을때 한글이 깨지는 경우가 있는데
request.setCharacterEncoding("utf-8")을 해준다.
get방식은 안깨지나?
tomcat이 자동으로 utf-8처리를 해주어서 괜찮다.
HttpServletResponse
서버작업을 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작업결과를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response.setContentType(); //1
response.setCharacterEncoding(); //2
1. setContentType은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할 데이터의 종류(MIME-TYPE)를 지정
사용 방법 : response.setContentType("text/plain");
※ MIME-TYPE?
서버에서 클라언트에게 데이터 전송시 어떤 종류의 데이터인지 알려줘야한다. ( 빠른 처리를 위해 )
HTML → text/html
텍스트 → text/plain
XML → application/xml
2. setCharacterEncoding은 클라이언트에게 보내는 데이터를 이걸로 해석하라는 의미
사용 방법 : response.setCharacterEncoding("utf-8");
'공부 > 과거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Batis] update set에 모두 if 사용하기와 trim태그 (0) | 2022.07.21 |
---|---|
[Java] 오버로딩(overloading) (0) | 2022.07.21 |
[Spring] Servlet (0) | 2022.07.20 |
[Spring MVC] 웹 애플리케이션 이해 (0) | 2022.07.19 |
[Java] 클래스메서드, 인스턴스메서드 (0) | 2022.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