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image
스레드 기본 정보
//main 스레드Thread mainThread = Thread.currentThread();log("mainThread = " + mainThread);log("mainThread.threadId()" + mainThread.threadId()); //자바에서 고유값 정함log("mainThread.getName()" + mainThread.getName()); //사용자가 정할 수있음log("mainThread.getPriority()" + mainThread.getPriority()); //우선 순위 기본이 5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많이 사용된다함log("mainThread.getThreadGroup()" + mainThread.getThreadGroup());log("mainThread.getSt..
2024.09.18
[ SptringBoot ] Maximum upload size exceeded
nginx에서 발생한 오류를 해결하니 이번엔 Boot에서 오류 발생 파일 업로드 작업중 용량이 큰경우 발생함 해결방법application.properties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 spring.servlet.multipart.maxFileSize=10MB         // 파일 하나의 최대 용량spring.servlet.multipart.maxRequestSize=10MB  // 전송하는 파일 묶음의 총 용량
2024.09.17
[ Nginx ] 413 Request Entity Too Large
웹뷰를 통해서 파일 업로드를 하고 있는데 오류가 발생했다. 파일 용량이 커서 생긴 오류이다. 현재 nginx를 웹서버로 두고 springBoot 시스템 돌리고 있는 상황 nginx가 있는 폴더로 이동해서 conf > nginx.conf에 바라보고 있는 시스템의 server에서 수정server{   ...   client_max_body_size 10m;    ...} 으로 설정 완료
2024.09.17
no image
스레드 생성과 실행
Java에서 Thread를 생성하는 방법엔 Thread 클래스 상속/Runnable 인터페이스 구현 두가지 방법이 있다.public class HelloThread extends Thread{ @Override public void run() { System.out.println(Thread.currentThread().getName() + ": run 실행"); }}public class HelloThread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Thread.currentThread().getName() + ": main() start"); HelloThread h..
2024.09.16
no image
프로세스와 스레드란
멀티프로세싱컴퓨터 시스템에서 둘 이상의 프로세서(CPU 코어)를 사용하여 여러 작업을 처리하는 기술이며 동시에 많은 작업을 처리 멀티태스킹동시에 여러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를 위해 운영체제는 스케줄링 기법을 사용하며, 스케줄링은 CPU 시간을 여러 작업에 나누어 배분하는 방법 멀티프로세싱 / 멀티태스킹 멀티프로세싱   - 여러 CPU를 사용하여 동시에 여러 작업을 수행   - 하드웨어 기반으로 성능 향상 (CPU니깐) 멀티태스킹   - 단일 CPU가 여러 작업을 동시에 수행 프로세스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프로세스가 만들어지며 프로그램이 실행 (클래스를 인스턴스 했을때를 생각하면됨)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인스턴스하나의 스레드를 반드시 포함각 프로세스는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을 가지며, 운영체제에서 독립된 실행 단위..
2024.09.16
no image
DNS 연결 및 80 port 안되는 경우 > 해결
우선 해결 방법을 설명하기전에 얼마나 고생했는지 남겨야 될듯오늘은 추석연휴 시작하는 날인데 정확히 오후 4시부터 지금 10시까지 총 6시간 동안 헤매다가 해결했다. 각설하고 문제 발생 시점과 접근해본방법들 마지막으로 해결한것까지 설명하겠다. 문제 발생 시점가비아에서 도메인을 구매하여 내 외부 IP와 연결했고 Nginx실행시켜서 내 웹사이트를 띄우고 있었다.띄우려면 작업해야할게 있는데1. 포트포워딩2. 방화벽 해제 물론 위에 것 다 했으니 한 몇날 며칠동안은 나의 웹사이트가 잘 됐다. 근데 언제부턴가 접속이 안됐는데 나중에 해야지 미뤄뒀던걸 오늘 해결 한것이다.(결론 먼저 이야기 하자면 잘됐을때는 lan이었고, 안되는 시점엔 lan선을 빼고 와이파이였음)해결방법들1. 포트포워딩이 잘되어있나 보니 내 내부I..
2024.09.14
nssm 설정
기존에 nssm으로 service 돌리고 있던게 있었는데 삭제하려고 했더니 기억이 안나서 정리 C > ProgramFile에 넣어뒀었는데 cmd > nssm.exe 파일로 접근 > nssm remove Nginx로 종료  등록: nssm.exe install실행: nssm start Nginx종료: nssm stop Nginx
2024.09.14
웹 폰트에 관하여 그리고 subset
웹사이트에서 Pretendard Font를 사용하는데 기존에 .ttf 파일을 사용했는데 용량이 6mb 였다.그래서 woff2로 바꿨는데 용량이 200kb까지 줄였다. 종류가 여러가지이고, 용량의 크기도 다르다.ttf > otf > eot > woff > woff2 그런데도 속도의 문제는 있어보인여 subset이란걸 알아보았다. 한글의 경우 잘 사용하지 않는 글자 들이 있다. 뷁 같은 자음 모음의 조합으로 구성된 복잡한 글자들은 제거하고 사용할 글자만 남겨둔것이다.
2024.09.12